문학을 읽고, 지구를 말하다
지구적 세계문학 20호. 특집 ‘제11회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포럼’, 기획1 ‘한국 속의 세계문학, 세계 속의 한국문학’, 연속기획 ‘제국주의 근대성과 아프리카 문학’ 등으로 구성되었다.
특집 : 제11회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포럼이산의 세계문학1. 아시아마카란드 파란자페 / 세계로는 부족하다-인도 디아스포라와 세계문학유세프 야쿠비 / 에드워드 사이드, 에크발 아마드와 살만 루시디-탈식민주의 이론의 양가성에 저항하기2. 아프리카프란시스 니암조 / 유동적 불완전함으로서의 디아스포라 재현하기마리아 올로센 / 유동적인 패러다임-압둘라자크 구르나의 『낙원』과 『탈주』에 담긴 인도양 세계3. 라틴아메리카아리엘 도르프만 / 누가 진짜 야만인인가?-라틴아메리카의 기억과 숙명길다 이바세타 페레스 / 카멜레온과 망명-나의 어머니 테레사 글로리아에게우석균 / 도르프만의 『남을 향하며 북을 바라보다』-이중문화, 전 지구적 역사, 디아스포라, 장기 60년대덧붙임 : 로힌갸 난민의 시마이유 알리 / 글쓰기는 나의 정체성로힌갸 난민의 시기획1한국 속의 세계문학, 세계 속의 한국문학김재용 / 백석과 프랑시스 잠 그리고 세계문학호리구치 다이가쿠 / 프랑시스 잠에 대하여프랑시스 잠 / 노래하는 밤연속기획2제국주의 근대성과 아프리카 문학친웨이주·온우츄카 제미·이에츄콰 마두뷰케 / 아프리카 문학의 탈식민화를 향하여월레 소잉카 / 신-타잔주의-유사-전통 시학친웨이주·온우츄카 제미·이에츄콰 마두뷰케 / 소잉카의 「신-타잔주의」에 대한 답변특별논문호세 레사마 리마 / 바로크의 호기심